ECMA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ECMA%EC%8A%A4%ED%81%AC%EB%A6%BD%ED%8A%B8
ECMA스크립트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ECMA스크립트(ECMAScript, 또는 ES[1])란, Ecma International이 ECMA-262 기술 규격에 따라 정의하고 있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를 말한다. 자바스크립트를 표
ko.wikipedia.org
JS = ES
String
문자데이터는 큰따옴표, 작은따옴표, 백틱(`)로 만들 수 있음.
백틱은 ${} 데이터(템플릿 리터럴) 를 문자열에 연결할 때 사용 (보간)
리터럴 : 기호를 통해 데이터를 만드는 방식.
number에 undefined를 더하게 되면 NaN (Not a Number)이 출력 됨.
NaN은 숫자 타입이지만 숫자로 표현할 수 없음.
typeof 를 붙이면 해당 데이터의 타입을 알 수 있음.
const a = 0.1;
const b = 0.2;
console.log(a + b);
// 결과 0.30000000000000004
console.log((a + b).toFixed(1));
// 결과 0.3 (문자데이터)
console.log(Number((a + b).toFixed(1)));
// 결과 0.3 (숫자데이터)
let : 재할당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.
null(명시적) :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비어있다.
undefined(암시적) : 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. 기본 변수에 아무것도 할당되지 않았을 때.
Array 배열
const fruits = new Array('Apple','Banana','Cherry');
const fruits2 = ['Apple','Banana','Cherry']; // 배열 리터럴
fruits[0] 대괄호 표기법. 인덱싱.
Apple 은 배열의 아이템 = 배열의 요소 = Array의 element
Object 객체
// 생성자 함수
const name = new Object();
user.name = "YEJIN";
user.age = 28;
// 리터럴 방식
const user = {
name: "YEJIN",
age: 28,
};
console.log(user.name); // 점표기법
console.log(user["name"]); // 대괄호표기법. 변수 이용 가능.
key : value 형태로 만들어짐.
key : 속성, property / value : 값
key는 고유하고 순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음. 먼저 만들었다고 먼저 출력되지 않음.
일치, 동등 연산자
=== 일치. 1이랑 '1'은 다름. 같은 타입인지도 확인.
== 동등. 1이랑 '1'이 같음. 0이랑 false랑 같음. 형변환이 됨.
참과 거짓
거짓 : false, 0, null, undefined, NaN, '', 0n ( Big Int)
빈 배열([])인 경우도 참에 들어감.
데이터 타입 확인
typeof로는 null이랑 [] , {}은 object로 나옴.
[].constructor => Array
{}.constructor => Object
null.constructor => 에러 발생
Object.prototype.toString.call(null) => [Object Null]
Object.prototype.toString.call(null).slice(8,-1) => Null
function checkType(data) {
return Object.prototype.toString.call(data).slice(8, -1);
}
'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노마드코더] Next.js 시작하기 Introduction (0) | 2025.01.31 |
---|---|
[패스트캠퍼스 강의] 연산자와 구문 (0) | 2024.12.31 |
[패스트캠퍼스 강의] NODEJS (0) | 2024.03.18 |
[패스트 캠퍼스 강의] HTML 핵심 정리 (0) | 2024.02.20 |
[패스트 캠퍼스 강의] HTML 개요 (0) | 2024.02.20 |